라즈베리파이 네트워크 설정에서 막힐 때 꼭 확인할 점 5가지

1. 라즈베리파이 네트워크 설정의 기본 이해

라즈베리파이를 처음 설치하고 부팅하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바로 네트워크 연결입니다. Wi-Fi나 LAN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해야 패키지 설치, 원격 접속(SSH), 시스템 업데이트 등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초보자들이 가장 자주 겪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인터넷이 안 된다” 또는 “SSH 접속이 되지 않는다”는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 네트워크 설정에서 막혔을 때 꼭 확인해야 할 핵심 5가지를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2. 확인 1: Wi-Fi SSID와 비밀번호 입력 오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지만, 실제로 가장 흔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라즈베리파이 OS를 설치할 때 Wi-Fi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SSID(네트워크 이름)나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면 연결이 실패합니다.

특히 다음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 대소문자가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 (Wi-Fi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 특수문자가 포함된 비밀번호는 올바르게 입력했는지 재확인
  •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자동 완성 기능이 개입하지 않았는지 확인

만약 설정 후에도 연결되지 않는다면, SD카드의 wpa_supplicant.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시 설정 파일:

country=KR  
ctrl_interface=DIR=/var/run/wpa_supplicant GROUP=netdev  
update_config=1  

network={  
    ssid="WiFi이름"  
    psk="비밀번호"  
}

파일을 수정 후 SD카드를 다시 꽂고 부팅하면 자동으로 Wi-Fi에 연결됩니다.

3. 확인 2: 국가 설정과 Wi-Fi 채널 제한

라즈베리파이 OS는 각 국가의 무선 주파수 규제를 따릅니다.
만약 국가(region) 설정이 잘못되어 있으면, 특정 Wi-Fi 채널을 인식하지 못해 연결이 안 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라즈베리파이에서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 입력 sudo raspi-config
  2. Localization Options → WLAN Country로 이동
  3. 거주 국가를 KR (Korea, Republic of) 로 설정
  4. 재부팅 후 다시 연결 시도

이 설정을 통해 Wi-Fi 신호 감도가 높아지고, 인식되지 않던 무선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4. 확인 3: DHCP(자동 IP 할당) 문제

Wi-Fi에 연결되어도 실제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면 IP 주소가 제대로 할당되지 않은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라즈베리파이는 기본적으로 DHCP를 통해 자동으로 IP를 받는데, 공유기나 라우터에서 DHCP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연결이 실패합니다.

확인 방법:

  1. 터미널에서 ifconfig 또는 ip addr 입력
  2. wlan0 또는 eth0 인터페이스에 IP 주소(예: 192.168.x.x)가 표시되는지 확인
  3. IP가 없다면 아래 명령으로 수동 할당 sudo dhclient wlan0

또는 dhcpcd.conf 파일을 수정해 고정 IP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5. 확인 4: SSH 접속이 안 될 때의 점검법

라즈베리파이에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어도, SSH 접속이 안 된다면 몇 가지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1. SSH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 SD카드의 /boot 파티션에 ssh라는 빈 파일을 만들어 두면, 부팅 시 자동으로 SSH가 활성화됩니다.
  2. IP 주소 확인
    • 라우터 설정 페이지나 터미널에서 hostname -I 명령으로 확인합니다.
  3. 방화벽 또는 네트워크 차단 여부
    • 회사나 학교 네트워크의 경우, SSH(포트 22)가 차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4. 같은 네트워크 내 접속인지 확인
    • SSH 접속 시 PC와 라즈베리파이가 동일한 Wi-Fi 또는 LAN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6. 확인 5: 전원 공급 및 하드웨어 문제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면 라즈베리파이의 무선 모듈이 불안정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압이 부족할 경우 Wi-Fi가 끊기거나 LAN이 인식되지 않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5V 3A 이상의 정품 전원 어댑터 사용 권장
  • 케이블 불량 여부 확인
  • USB 허브나 외장하드 사용 시 별도 전원 공급 고려

또한 라즈베리파이 3 이전 모델은 Wi-Fi 신호가 약할 수 있으므로, 외장 USB 무선 랜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7. 네트워크 문제를 예방하는 팁

  • OS 설치 후 즉시 시스템 업데이트 실행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 SSH, VNC, Samba 등 자주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능은 초기 설정에서 함께 활성화
  • 동일한 SSID를 여러 공유기에서 사용할 경우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이름을 구분

라즈베리파이의 네트워크 문제는 대부분 단순한 설정 오류나 전원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위의 다섯 가지 점검 사항만 차근차근 확인해도 대부분의 연결 오류는 해결됩니다.
특히 Wi-Fi 국가 설정과 SSH 활성화는 초보자가 자주 놓치는 부분이므로 반드시 확인해두세요.

이 과정을 익혀두면, 이후 라즈베리파이를 서버나 IoT 장비로 확장할 때 훨씬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